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통풍의 위험인자

by 하햇 2022. 6. 14.

사진출처 아시아경제

 

갑자기 엄지발가락쪽 관절이 빨개지면서 부었던 적은 없었나요?

정말 심할 경우에는 통증으로 응급실까지 가게 되는 어마무시한 것이 통풍입니다. 

통풍은 대체 어떤 질병일까요?

 

'통풍?? 나는 아니겠지' 하고 있는건 아닌가요? 

어느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질환이 통풍입니다. 

정말 아프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이 통풍에 대해 알아보려고합니다. 

 

1. 통풍이라는 말의 유래  

 

통풍(gout) 라는 말은 라틴어 구타(gutta)라는 말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침방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13세기에 통풍은 악마의 체액 방울이 관절 안으로 침범해서 발생한다고 믿었고 악마가 나에게 방문한 것이라고 믿었다고 합니다. 

 

2.  '왕의 병'이라고 불리는 통풍

통풍은 수천 년 전부터 인류를 괴롭혀 온 오래된 질병으로 예전부터 '왕의 병' 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옛날에는 하루 끼니를 유지하기도 힘들었지만 왕이나 귀족들은 음식이 풍부 했기 때문에 술과 안주를 배불리 먹고 나타났던 병이 바로 통풍이였습니다. 갑자기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퓨린이라는 단백질 대사 장애로 인해 분해 산물인 요산이 결정체를 만들어 관절 내와 신체 여러 조직에 침착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로 한군데 관절에 급성 관절통으로 나타나는데 90% 이상이 특징적으로 엄지 발가락 부분입니다. 

 

3.  4가지 통풍질환

 

 통풍이란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의미에서 이름이 지어 졌습니다. 혈액속의 요산이라는 물질이 갑자기 증가하면 이 요산이 관절내로 들어가면서 발생 됩니다. 요산이 몸에 많이 생성되거나 소변을 통한 몸 밖으로의 배출이 저하되어 관절이나 관절 주변 인대 또는 피부에 요산 결정체가 쌓이고 그 결과로 여러가지 현상이 발생합니다. 

 

1) 통풍성관절염

2) 통풍결절

3) 통풍성콩팥병

4) 요산에 의한 콩팥결석

 

4. 통풍의 위험인자

통풍은 여성보다 남성이 더 잘 걸립니다. 

여성은 폐경기 이후에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여성호르몬이 통풍을 예방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그렇다면 통풍에 잘 걸리는 경우입니다. 

 

중년 남성

비만

당뇨

고혈압

만성콩팥병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 

가족력

요산배출 저하시키는 약물의 복용 등

 

한가지 더 생각해야 할 문제는 20~30대 그리고 드물게는 10대도 통풍에 걸린 것을 보았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는지도 살펴 보아야 합니다. 위험인자에 포함되지 않지만  10~30대의 통풍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걱정되는 부분이 눈에 보이는지 모르겠지만 비만이 원인중에 있습니다. 

 

통풍에 걸린 10~30대의 환자들을 보면 과체중인 경우가 많습니다. 비만이 또 하나의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23~30대는 비만과 술이 문제 입니다. 특히 맥주를 즐기는 분들이라면 주의를 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모든 질병에는 그 원인이 스트레스와 비만입니다. 

현재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생각 된다면 해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내 몸을 보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체중으로 비만이다라고 생각 한다면 정상 체중으로 적절하게 유지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실제로 통풍에 걸린 사람들을 보면 통증이 말도 못하게 아프다고 합니다. 

살짝만 닿아도 소리를 지르기도 합니다. 

꾀병 아닐까? 하겠지만 정말 심한 통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늘 통증 발작에 대한 비상약을 병원에서 받아놓고 생활을 하고 있는데 약으로만 의존 할 것이 아니라 생활습관과 운동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적정 체중!! 기억 하시길 바랍니다. 

 

통풍에 대한 내용들을 더 작성할 예정입니다. 

하나라도 알고 있다면 나에게 도움이 될수도 있고 주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실제로도 주변의 이야기를 듣고서 병원을 찾아 준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관절이 아파서 정형외과로 가는 분들이 많은데 류마티스내과가 있는 병원으로 가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류마티스내과에서는 통증 발작에 대해서 약을 처방해주고 있고 조절 하고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스테로이드제제 염증 치료도 진행이 되기 때문입니다. 

 

댓글0